「변호인」(2013년 개봉)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적인 법정 드라마로, 평범한 세무 변호사가 인권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변호인으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영화는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실제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여, 1980년대 부림 사건을 배경으로 국가 권력에 의해 억울하게 고문당한 청년들을 변호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냈습니다.
1. 평범한 변호사에서 정의로운 변호인으로
송우석(송강호 분)은 돈을 벌기 위해 세금 관련 소송을 주로 맡는 변호사였습니다. 그는 남들이 꺼리는 부동산 등기와 세무 소송을 맡으며 큰돈을 벌었고, 덕분에 성공한 변호사가 됩니다.
그러나 그의 인생은 국밥집 아들 박진우(임시완 분)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면서 바뀌게 됩니다. 박진우는 친구들과 함께 책을 읽고 토론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간첩으로 몰려 체포되었고, 무자비한 고문을 당합니다.
처음에는 이 사건을 외면하려 했던 송우석. 그러나 고문당한 박진우의 모습을 본 순간, 그는 더 이상 가만히 있을 수 없었습니다.
"법이 사람을 지키는 거라고 배웠습니다. 여러분도 그러셨잖아요!"
송우석은 자신의 안위를 포기하고, 국가 권력과 맞서 싸우는 박진우의 변호인이 되기로 결심합니다.
2. 등장인물 소개
등장인물로 우선 송우석(배우 송강호)은 평범한 변호사에서 정의로운 변호인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표현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돈을 벌기 위해 변호사가 된 현실적인 인물이지만 박우진 사건을 맡으며 법의 본질과 정의의 의미를 깨닫게 됩니다. 권렬과 맞서 싸우며, 진정한 변호인의 길을 걷게 되는 역할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박진우(배우 임시완)는 부당하게 체포된 대학생 역할을 표현하게 됩니다. 국밥집 아들이자 평범한 대학생이며, 친구들과 책을 읽고 토론했다는 이유만으로 간첩 혐의를 쓰고 있습니다. 고문을 당하며 인간의 존엄성이 철저히 무너지는 경험을 하게 되는 역할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송강우의 정신적 지주이자 국밥집 주인 최순애(배우 김영애)는 박진우의 어머니이자 국밥집을 운영하며 성실하게 살아온 인물을 입니다. 송우석을 어린 시절부터 챙겨주며 그의 인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아들이 억울하게 최포되자 송우석에게 간절히 도움을 요청하게 됩니다. 이번엔 어떻게 보면 악역으로 나오는 국가 권력을 대변하는 검찰 역할의 차동영(배우 곽도원)입니다. 정부의 명령을 충실히 따르는 검사이자 법보다 정권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박진우를 간첩으로 만들기 위해 조작된 증거를 사용합니다. 이 차동영은 송우석과 법정에서 강렬한 대립을 펼치게 됩니다.
3. 촬영 기법
변호인의 촬영 기법으로는 1980년대의 시대적 분위기를 재현하였습니다. 어두운 색감과 부산의 로케이션 촬영을 활용해 1980년대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재현하였으며, 신문, 간판, 법원 내부 인테리어까지 시대적 고증을 철저히 반영하였습니다.
법정 장면의 긴장감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카메라를 송우석의 시점에서 촬영하며, 법정의 긴장감을 생생하게 전달하였고, 핸드헬드 기법을 사용해 송우석의 감정 변화를 더 실감나게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고문 장면의 리얼리즘을 다루기 위해 잔혹한 고문 장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기 보다는, 박진우의 표정과 소리, 어두운 조명으로 심리적 충격을 강조하여 관객들이 상상하게 만들며 고문의 잔혹성과 국가 폭력의 공포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 하였습니다.
4. 실화 내용 – ‘부림 사건’과 故 노무현 전 대통령
부림 사건 (1981년)
1981년, 부산에서 22명의 대학생과 교사가 체포된 사건이며, 그들은 ‘사회주의 서적을 읽었다’는 이유로 간첩 혐의를 받았습니다. 체포된 청년들은 혹독한 고문을 당하며 허위 자백을 강요받았으며, 이후 1983년, 법원은 이들에게 징역형을 선고하며 사건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노무현 변호사와 부림 사건
당시 부산의 한 변호사가 국가권력에 맞서 부림 사건 변호를 맡았으며, 정부의 감시와 탄압 속에서도 인권 변호사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 하였습니다. 이후, 그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며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5. 결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옵니다!"
「변호인」은 단순한 법정 영화가 아니라, 정의와 인권을 위해 싸운 한 사람의 용기 있는 선택을 그린 감동적인 작품입니다.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국가를 감시해야 하는 순간이 올 수도 있다는 경고.
이 영화를 본 후, 우리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